아시아 영화의 새로운 도약, ACF 아시아영화펀드

장편독립다큐멘터리
AND펀드

2023 장편독립다큐멘터리 AND펀드 선정작

목록보기 K-Number
분류 해인상선 펀드
선정작 K-Number
감독 조세영
국가 대한민국
감독소개 성폭력생존자들의 이야기를 유쾌하게 그려낸 <버라이어티 생존토크쇼>(2009) 를 첫 장편 다큐멘터리로 선보였다. 두번째 장편 다큐멘터리 <자, 이제 댄스타임>(2013)은 임신중절 당사자의 이야기를 극과 다큐멘터리가 교차하는 독창적인 형식으로 담아낸 바 있다.

2015년부터는 다큐멘터리 외의 장르에도 관심을 두며 영상의 가능 조건들을 실험하기도 했다. 여성 연대를 그린 단편 극영화 <물물교환>(2015)이나 세월호 유가족의 목소리를 재현한 연극 <그녀를 말해요>(2016), 관객 참여형 공연-퍼포먼스 <우주보따리>(2017) 등이 그 실험의 일환으로, 특히 연극인들과 협업한 <그녀를 말해요>나 미술인들과 협업한 <우주보따리>는 스스로가 제한한 영상의 한계를 넓혀주었다.
시놉시스
1970년대 초, 길에서 우연히 발견된 미오카.
어린 시절 자신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는 미오카는
가족을 찾기 위해 여러 차례 한국을 찾는다.
하지만 매번 돌아오는 건 조작된 서류와 감춰진 기록.
K-Number의 진실은 무엇이며,
사라진 서류는 무엇을 감추고 있을까?

시간과 국경을 넘어, 숨겨진 진실이 풀리기 시작한다.
감독노트 및 기획의도
6.25 전쟁 이후 미국과 유럽으로 입양 간 한국 아이들은 대략 20만 명이 넘는다.
개별 입양기관은 아동을 해외로 입양 보내기 위한 숫자 분류 체계를 만들었고 그 중 다수의 아동들이 ‘K-‘에 번호가 붙여진 채로 해외로 보내졌다.
성인이 된 해외 입양인은 뿌리가 끊긴 자신의 인생 조각을 맞춰보기 위해 한국으로 돌아오지만,
한국사회는 왜 이토록 많은 한국 아동이 해외로 입양갈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해서는 질문하지 않는다.
한국 출신 해외 입양인을 다룬 작품은 이미 여럿 있지만, 기존 작품에는 해외 입양인만 있을 뿐, 문제를 함께 해결하려는 ′한국인′은 없었다.

<케이 넘버>(K-Number)는 자신의 뿌리찾기에 나서는 해외 입양인들과 더불어 그간 보이지 않던 한국인들을 한데 다룬다.
비록 실패하고 미끄러지더라도, 그 여정 안에서 해외 입양은 더 이상 ′그들′의 문제가 아닌 ′우리′의 문제가 된다.
상영 영화제
2025 제13회 디아스포라영화제 디아스포라 장편

2025 제22회 코펜하겐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F:ACT AWARD

2024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 장편경쟁 ‘대상’

2024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 ‘열혈스태프상’

2024 제29회 부산국제영화제 와이드 앵글 다큐멘터리 경쟁 ‘다큐멘터리 관객상’
작품스틸
목록보기